Q1) 표에 나타나는 “유저”는 무엇인가요?
유저는 신청 계정의 고유 ID를 기준으로 분류한 정보를 의미해요.
이 정보를 활용하면 동일한 계정(사용자)이 신청한 내역인지 쉽게 판별할 수 있어요.
단, 이 분류는 해당 신청 내역 또는 입금 내역 범위에서만 유효해요.
Q2) 이해가 잘 안돼요…ㅠㅠ
예시로 설명드릴게요.
신청자가 동일한 경우
여러 신청 내역이 모두 같은 계정에서 발생했다면 아래와 같이 표시돼요.
신청 ID | 유저 | 이름 | 전화번호 |
A | U-1 | 이유니 | 010-XXXX-XXXX |
B | U-1 | 이유니 | 010-XXXX-XXXX |
C | U-1 | 이유니 | 010-XXXX-XXXX |
→ A, B, C 신청 모두 동일한 계정(사용자)의 신청임을 알 수 있어요.
신청자가 다른 경우
여러 신청 내역이 서로 다른 계정에서 발생했다면 아래와 같이 표시돼요.
신청 ID | 유저 | 이름 | 전화번호 |
A | U-1 | 이유니 | 010-XXXX-XXXX |
B | U-2 | 나유니 | 010-YYYY-YYYY |
C | U-3 | 강유니 | 010-ZZZZ-ZZZZ |
→ A, B, C 신청 모두 서로 다른 계정(사용자)의 신청임을 알 수 있어요.
신청 내역 / 입금 내역 단위가 다른 경우
신청 내역과 입금 내역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어요.
예시)
•
이유니, 600원 입금
신청 ID | 유저 | 이름 | 전화번호 |
A | U-1 | 이유니 | 010-XXXX-XXXX |
B | U-1 | 이유니 | 010-XXXX-XXXX |
•
강유니, 300원 입금
신청 ID | 유저 | 이름 | 전화번호 |
C | U-1 | 나유니 | 010-YYYY-YYYY |
D | U-2 | 강유니 | 010-ZZZZ-ZZZZ |
이 경우, 신청 A·B·C의 유저 값이 모두 U-1이더라도
실제로는 동일한 계정(사용자)이 아닐 수 있어요.
즉, 신청 내역과 입금 내역의 범위가 다르면 유저 값이 같더라도 동일 인물로 단정할 수 없어요.